환유(換喩)적 풍경 속에 흐르는 情 - 김영원(조각가) (2018)

박철 0 4,708

환유(換喩)적 풍경 속에 흐르는

 

김 영 원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 조각가)

          

박철 화백과 나는 지근거리에 작업실을 둔 관계로 부담 없이 수시로 만나 밥을 먹으며 심금을 털어놓고 격의 없이 수다를 떨 수 있는 몇 안 되는 친구 중 한 사람이다. 언제나 소탈하고 다정다감하고 섬세한 감성의 소유자이면서 한편 작품제작 시에는 우직한 농부 같은 제작 태도가 미련하게 작업하는 나와 유사한 점이 있어 서로가 친밀감을 더 했는지도 모른다. 이번 성남아트센터 큐브미술관 전시작품 준비에 나이를 잊고 전력투구하다 허리를 다쳐 입원한 상태에서 의사 만류에도 불구하고 하루 휴가를 내어 지팡이를 짚고 전시 개막식에 나와 축하객을 맞이하는 모습을 지켜보며 짠한 기분을 감출 수가 없었다.

 

그의 고된 작업 과정을 잘 알기 때문에 더욱 마음이 아려왔었다. 박 화백은 보통 화가들처럼 평면 위에 붓으로 그림을 그리며 작업을 하는 화가가 아니라 일종의 부조(浮彫) 같은 작품을 하는 한지(韓紙) 조각가와 같다. 그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멍석이나 바이올린, 떡판 같은 오브제를 석고나 시멘트로 mold()를 만들고 그 몰드에 천연 접착제인 황촉규를 칠한 한지를 2, 30겹 덧발라 다양한 붓으로 서로 한 몸이 될 때까지 두들겨 밀착시켜 얻는 casting 기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강한 노동력과 긴 시간이 수반되는 엄청 힘든 작업이다. 이런 과정을 거친 박철 작품은 실제적 공간과 양감, 부피감이 있으며 입체물이나 조각에 존재하는 촉공간이 내재되어 있는 일종의 조각품이다. 부조 같은 작품 위에 염색 공예가로 활동 중인 부인 백귀현 선생의 도움을 얻어 오베자, 홍화, 도토리로 만들어진 천연염료를 칠해 비로소 한지와 색깔이 한 몸이 되어 담백한 색을 지닌 회화로 변신한다. 이러한 채색 기법은 인공 염료의 한계를 넘어 우리의 감성과 정서에 울림을 줄 수 있는 친밀감으로 작품의 깊이와 격을 높여 주는 요인이기도 하다.

박철 작품은 힘든 노동력과 치열한 장인 정신을 기반으로 한 작품이므로 도덕성이 있기에 정당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믿으며 나는 그의 작품에 깊은 신뢰를 보내고 지지를 하는 입장이다.

박철의 이러한 힘든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한지 작품이 함의 하는바 무엇일까? 박철 작품은 힘든 제작 과정에 반해서 우선 보기가 편하고 부담이 없으며 넉넉함과 풍요로움이 묻어있다. 시골 장독대와 뒷마당에서 느낄 수 있는 훈훈한 기운이 양지의 햇살처럼 따스하다. 무작위, 무심, 소박미 등등 한국 민예품에서 볼 수 있는 특징들도 다소 엿보이기는 하나, 그는 분명 현대미술의 영역에서 동시대적 언어로 작업하는 현대작가이다.

 

솔직히 말해 우리나라 현대미술은 그 태생이 모방과 이식의 연속이며 아직도 정체성이 모호한 상태에서 글로벌이란 물결 속에 휩쓸려가고 있는 상황이 전개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 나라의 문화적인 측면에서 보면 정체성 문제가 야기될 소지를 다분히 가지고 있다. 박철의 학창 시대는 너나없이 죽으라고 서구 문화를 배우고자 하는 분위기가 팽배했던 시대였었다. 현대미술의 개념조차 모른 체 모든 정보의 촉수를 뉴욕, 파리에 두고 양식적 측면만 수박 겉핥기로 열정만을 앞세워 밤새워 작업들을 했었다. 박철 역시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수학기와 초기 작업 시기를 거쳐 왔었다.

 

박철에게 본격적으로 자기 세계를 대변할 수 있는 멍석이 주제로 등장한 것은 80년 중반 임하댐 건설로 인한 수몰 지역에서 버려지고 사라지는 민속품을 지켜보며 그 안타까운 심정에서 우리 옛것에 대한 무한한 애정의 발로에서 비롯되었다고 술회 하곤 했었다. 어떻게 하면 사라져가는 우리 옛것들을 재해석하고 현대화하여 우리 정서에 와 닿는 미학적 개념과 방법을 찾아 정체성을 담보하는 작품을 만들 수 있을까를 고민 중이라고 토로한 바가 있다.

 

왜 하필이면 많은 민속품 중에 멍석을 택했을까? 지난날 우리의 삶 속에는 멍석의 용도가 다양했다. 시골 농촌에서는 곡식을 말리는 주된 기능과 윷놀이 등을 여는 유희 공간, 애경사시 소통과 공감의 무대 역할을 충실히 해왔었다. 또한, 현대미술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형식상의 반복과 단순함, 간결함 등등 현대미술의 조형적 질서가 노정되어 있음을 알고 멍석을 작품 주제로 선택했노라고 작가노트에서 밝힌바 있다. 멍석 부조를 배경으로 떡판이나 다른 민예품들을 대상으로 한 부조들을 결합하기도 하고 또한 그 자체에 내재 되어있는 질서를 그대로 작품에 이용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는 대상을 관념이나 철학적 가치판단에 의존하지 않고 직관에 의해 포착하며 스스로를 내보이고 내맡기도록 내버려 두는 현상학적 태도를 따른 것이라고 한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색채는 그와 같은 동시대의 작가들처럼 단색이 대부분인데 이는 담백한 것을 선호하는 작가의 체질과 작품의 기본 개념에 충실한 것이라고 이해가 된다. 흰색계열의 작품들은 전통성을 띠며 민족적인 감성을 기반으로 한 다의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요즘 뜨겁게 주목받고 있는 단색화와 계를 같이 하는 부분이 분명히 있지만, 회화와 조각의 차이처럼 근본적인 상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는 분명 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은 작가이며 모더니즘 계열의 작가로 분류하고 있다. 그렇다고 미술의 자율성이나 순수성을 내세우며 매체와 평면성을 강조하는 그린버그식의 모더니즘과는 반대편에서 탈 이미지는 고사하고 멍석이라는 이미지를 전면에 내세워 그 이미지가 지니고 있는 다양한 의미들을 실험하고 있다. 때로는 현상학적인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는 작품들과 때로는 은유적 상징물로 접근할 수 있는 작품들도 엿보이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멍석이란 주제를 단초로 하여 사라져가는 우리 옛 삶 속에 묻어있는 감정과 정서를 불려내는 환유적 풍경(換喩的 風景)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 환유적 풍경 속에 전통과 현대가 어울려 서민적인 情感이 넘치는 소통과 공감의 장을 펼쳐 보이고 있지는 않은지? 그리고 박철 작품의 궁극적으로 도달할 지점은 어디일까? 오래도록 지켜보고 싶다.

 

 

 

A Flow of Affection in a Metonymic Landscape 



Kim Young-won (Professor of College of Fine Arts at Hongik University / Sculptor) 

                                                                              

The workrooms used by artist Park Chul and me are located in close proximity, and Park is one of few friends with whom I frequently meet, enjoy meals together, share our honest thoughts and chat away without reservation. Park is a modest, kind man of delicate sensibilities, but strongminded like a farmer when creating art. Perhaps our friendship was deepened through our shared stubbornness in our working styles. I could not help but feel a pang of emotion as I watched him standing with a cane and welcoming guests at the opening ceremony of the exhibition at the Cube Art Museum of Seongnam Arts Center, taking a day off against his doctor’s advice after being hospitalized for a back injury, which occurred during his all-out foray into his work for this exhibition despite his advanced age. 


My heart ached all the more since I was personally familiar with his arduous working process. While ordinary painters use a brush to paint on a two-dimensional canvas, Park is a kind of sculptor who uses hanji (Korean traditional mulberry paper) to create a relief-like piece of artwork. He uses a casting technique by creating a plaster or cement mold of recurrent objet such as straw mats (meongseok), violins, or wooden rice-cake patterns, and applying 20 to 30 layers of hanji mixed with a natural hibiscus glue onto the mold and tapping it with a variety of brushes to fuse together the paper and the mold. 


This is an enormously difficult method that requires a strong work ethic over an extended period. As a result of such a process, Park Chul’s works convey a realistic sense of space, quantity and volume, a sort of sculpture with an innate haptic space often found in a three-dimensional object or a sculpture. With the assistance of his wife Baek Gui-hyeon, a dyeing craftswoman who applies dye on relief-like works, Park’s works are transformed into paintings with clean, reserved colors using natural dyes such as gallnut, safflower, and acorn to combine the hanji and the colors into one. This coloring technique is one of the elements that help transcend the limits of artificial dye and create a sense of intimacy that inspires our sensibilities and sentiments, thereby elevating the sense of depth and refinement in the works. 

 

Park Chul’s artworks are the fruits of hard labor and intense craftmanship, which I believe to possess a sense of morality and validity that compels me to deeply trust and support his work.   

What are the implications intended by Park’s hanji works, produced through such a difficult process? In contrast with this tough, demanding creative process, his artworks are generally easy to appreciate and free of pretense, exuding richness and fullness instead. They radiate with the warmth of sunlight shining on open ground, with a homely aura that might be found amidst the pottery in the backyard of a farmhouse. While Park’s works contain archetyp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craft such as randomness, nonchalance, or simplicity to some extent, he is undoubtedly a modern artist who works with a contemporary language within the realm of modern art. 

 

To be candid, Korean modern art is inherently a repeating cycle of emulation and transplantation, being swept away by the wave of globalization in a state of uncertain identity even now. From a cultural perspective, this phenomenon may become a critical source of an identity crisis for the country. Park’s school days took place in an era when everyone without exception was fervently eager to learn about Western culture. Without the proper notion of modern art, most artists spread all of their avenues of information toward New York and Paris, working passionately through sleepless nights only to merely scratch the surface and create stylistic imitations. Park Chul was no exception as he spent his student days and early years amid this zeitgeist. 


Straw mats began to represent Park’s oeuvre as a core theme in the mid-1980s. He has often recalled that he began to use straw mats as his expression of infinite affection toward our old objects, out of wistful regret at witnessing the abandonment and disappearance of folk art and craft in an area that became flood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Imha Dam. Park once remarked that he kept thinking about how to reinterpret and modernize our disappearing old objects, discover an aesthetic concept and method unique to our sensibilities, and create art that ensures our identity. 


Why then did he choose straw mats, of all the various folk crafts? Straw mats had many usages in our daily life throughout history. In rural farming towns, they were used to dry grains, comprised the setting for playing traditional games such as yut, and served as a platform for communication and sympathy on happy and sad occasions. Park once wrote in the artist’s note that he selected straw mats as his theme as they conveyed the formal order of modern art, including formal repetition, simplicity, and conciseness, which form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art. The artist occasionally combines straw mat relief with other relief works using other folk crafts such as wooden rice-cake patterns, in an attempt to fully utilize the inherent order of the objects themselves. Is it too much of a leap of logic to say that Park follow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at did not depend on ideal or philosophical value judgements of the object, but rather turned to intuitive understanding, leaving the object to reveal itself? Like many other contemporary artists, Park mostly uses monochrome, attesting to the artist’s preference for the plain and simple in adhering to the basic concept of his works. White-colored works convey the traditional aspect, implying diverse meanings based on national sensibilities. 


It is certain that his works share a common denominator with monochrome paintings, which have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recently, yet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just as the difference between painting and sculpture. Park is, however, an artist who has been influenced by modernism, thus being categorized as a modernist artist. On the opposite side of Greenberg’s modernism, which stresses surface characteristics and the medium while highlighting the autonomy and purity of art, Park Chul places the image of a straw mat at the forefront to experiment with the various meanings of the image, which is far from being post-image. There are some pieces that might be interpreted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r some that can be understood as metaphorical symbols, yet the artist may be working on creating a metonymic landscape that evokes the emotions and sentiments of our bygone past lives, through the theme of straw mats. He might be unveiling a venue for communication and sympathy, full of folksy sentiments and emotions in that metonymic landscape where tradition and modern is in harmony. Where will Park Chul’s art ultimately arrive at? This is something that I would like to wait and observe for a long, long tim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