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리지 않는 음악이여 - 배석호(음악칼럼니스트) (2009년)

박철 0 4,034

들리지 않는 음악이여

악기의 패총에서 발굴해낸 낭만적인 악기들

 

182457일 금요일 밤 9. 오스트리아의 빈. 케른트나토아 극장. 음악사의 새로운 한 페이지가 써지고 있었다. 150여명의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이 빚어내는 악성(樂聖)의 마지막 교향곡인 제9합창피날레였다.

 

아브네스트 두 덴 쉐페르 벨트?

주흐 인 위베를 슈테-르넨첼트

-버 슈테르넨 무스 에르 이-로넨.....

 

실러의 시 환희의 송가에 붙인 노래는 어느새 마지막 구절에 다다르고 있었다. 이미 귀가 들리지 않아 아무 소리도 듣지 못하는 그의 지휘는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에게 그리 큰 의미가 없었다. 그는 그대로 객석에 등을 돌린 채 서 있었다. 박수소리는 그치지 않았다. 결국 단원 중 한 사람이 베토벤의 손을 잡고 청중 쪽으로 몸을 돌려 세워줌으로써, 비로소 열광하는 청중들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것은 환희가 폭발하는 순간이었고 최고의 ecstasy를 누린 데 대한 감사의 환성이었다. 박수소리는 좀처럼 멈출 줄 몰랐고 베토벤은 다섯 번이나 무대로 불려나왔다. 그렇지만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곡을 만든 자신은 아무 소리도 들을 수 없었으며, 자신이 지휘한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에서 울려나오는 harmony도 듣지 못했고, 관객들의 탄성과 경의에 찬 칭송도 들을 수 없었으니.

음악역사상 가장 숭고한 명작, 인류 음악의 걸작으로 꼽히고 있는 베토벤의 교향곡 제9합창은 이렇듯 작곡자 자신이 들을 수 없는 음악으로 탄생했다. 베토벤은 무슨 생각으로 이 곡을 만들었던 것인가. 베토벤은 평생에 걸쳐 마음에 두고 있던 음악의 이상(理想)을 마지막 교향곡인 제9번에 구현한 것이다. 들을 수 없었고, 들리지 않았기 때문에 더 위대한 음악을 만들어냈다는 말이 아니다. 들을 수 없었고, 들리지 않았기 떄문에 음악에 관한 처절한 고통이 수반됐고 철저한 역설(Stress)의 드라마를 완성시킬 수 있었다.

 

내가 박철의 앙상블’(KOREAN PAPER+NATURAL DYES)들을 만난 것은 90년대초였다. 음악애호가인 나는 박철의 그림에서 들을 수 없는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것의 역설에 관한 묘한 흥미에 빠졌다. 악기로 소리를 그린다는 것은 악기가 갖고 있는 정적(靜寂)을 들려주는 것이다. 악기는 그 자체만으로도 소리를 동경한다. 그래서 누군가 건드려주기만 하면 울어버리지만, 박철은 바이올린을 멍석과 매치시킴으로써 소리 없는 앙상블을 들려줬다.

그즈음 나는 소리의 지겨움에 빠져있었다. 들어도, 물릴 것 같지 않던 음악이 어느새 시끄러워졌고, 흔해빠진 것들로부터 탈출하고 싶었다. 들리지 않는 음악은 없을까. 베토벤도 적막(寂寞)을 지휘하지 않았던가? 이때 베토벤처럼 다가온 것이 유나화랑에서 본 박철이었다.

그날 멍석은 거칠고 토속적인 tone으로 바이올린의 신음소리를 흡입하고 있었다. 바이올린의 부드럽고 미려(美麗)한 굴곡에서 흘러나오는 신음이 황톳빛 태깔의 짜임에 스며들어 있었다. 나는 정적의 극치를 맛보았다. 그것은 소리의 암흑이었고 눈으로 듣는 음악이었다. 닥종이였다. 그는 소리 내지 않는 종이를 사용했다. 닥종이는 작업하기 좋게 젖어있었던 듯 질감은 충실했다. 푹신한 흡입력을 지닌 생리대처럼. 닥종이는 색()을 잘 먹었다. 색은 경박하게 눈부시지 않았다. 치자, 오배자, , 도토리 등에서 짜낸 생태(生態)의 난자(卵子)들이 황홀하게 번져 있었다. 때문에 나는 수차례(92년 유나화랑과 94년 워커힐미술관)에 걸쳐서 박철의 ENSEMBLE을 더 편력했다.

 

긴 세월 스치듯 지나가버렸다. 나는 여전히 음악을 듣고 있다. 더 깊게, 깊숙이, 낯선 곳을 향해, ‘탐험하듯 음악을 찾아 나선다. 어떤 이들은 이것을 탐닉이라고 얕잡아보기도 하지만 나에게 음악은 발굴이거나 탐험이다.

박철도 여전히 ENSEMBLE을 그리고 있다. 그의 역설도 더 깊어졌다. 박철이 연출하는 닥종이 무대엔 바이올린과 같은 현() 뿐 아니라 관()piano까지 출연한다. 닥종이의 생태에 스며들어있는 황홀은 어느덧 부화(孵化)를 꿈꾸고 있다. 이제 멍석과 바이올린의 matching이 아니다. 악기와 악기들의 ecstasy.

박철의 ENSEMBLE들은 악기패총(貝塚)으로 진화한다. 다시 박철을 탐험하고 싶은 본능을 느낀다. 거기서 나는 아주 낭만적인 악기들의 비밀을 캐낼 테다.

 

배석호 / 음악칼럼니스트

Soundless Music
Very romantic musical instrument unearthed in the shell mount of musical instruments

A new chanter in the history at music was written in the Karntnertor Theater 21 :00 Friday on May 07, 1824 in Vienna, Austria. It was the finale of Symphony No.9 Op.125 'Choral' , the last symphony played by me orchestra composed of about 150 musicians and choirs.

Ahnest du den Schöpfer, Welt?
Such' ihn über’' m Sternenzelt!
Über Sternen muss er wohnen.

The poem “An die Freude” of Schiller that was set to music was already reaching the final phrase. His direction was not very meaningful to the orchestra and choir as he was deal and could not hear any sound. When all the play was over, the audience clapped and applauded enthusiastically to the creator of the great work Beethoven could not hear the cheers oi the audience. He was standing with his back against the audience. The clapping did not stop. Finally, one oi the orchestra took his hand and helped him turn toward the audience and see the cheering audience. That was the moment intermingled with explosive joy and the shout of glee tor experiencing the best ecstasy. The clapping sound never stopped, and Beethoven had to be called to the stage as much as five times. Nonetheless, what good was it for? The very person who composed the music could not hear any sound, not even the harmony resonating from the orchestra and choir that he directed and the applause of the audience from the admiration and respect toward him. Symphony No.9 Op.125 ‘Choral' was born as a music which the composer himself could not listen to. although it is named the most sublime work and masterpiece of human in the history of music. What idea did he have when he created this music? The Symphony no. 9 is the embodiment of his ideal of music that he had in mind throughout his life. It is not that he created a greater music because he could not hear any sound. Rather, he confronted the severe pain about music because he could not hear, and that was the reason behind his completion of a drama of stress in strict ways.

It was early 1990s when i came across the Ensemble of Park Chul (KOREAN PAPER+NATURAL DYES). As a lover of music, I found the paradox subtly intriguing in the paintings of Park Chul that one could hear unhearable sound in the paintings. Painting the sound with musical instrument is to play the sound of tranquility inherent in the musical instrument. That musical instrument itself craves the sound. So. it makes sound whoever touches it. but Park Chul represented a soundless ensemble by matching violin with straw mat.

By that time, I was immersed in the pleasure at sound. I found that the music noisy which I thought that I would never feel sick and tired of, and I wanted to get away from the commonplaces. l wondered if there was any music that was soundless. isn't it that Beethoven directed the solitude? And Park Chul Art Fair in Yuna Gallery occurred to my mind, like the one analogous to Beethoven. On that day, the straw mat was absorbing the groaning sound of violin with the rough and folk-like tone. The groan from the smooth and beautiful winding was absorbed into the structure at figure and color like loess. l relished the static climax. That was the darkness of sound and the visible music. It was Dakjongi(paper). He used the paper without making any sound, Dakjongi(paper) has good quality cl material as it it were wet to make the work easier like a cushiony menstruation pad with high absorption. Dakjongi(paper) makes the color painted very well. Its color was not very frivolously glaring, The fresh seeds from cape jasmine, oak apple, persimmon, acorn, etc. are spread, forming a charming a spectacle. Therefore, I appreciated the ensemble of Park Chul several times(in Yuna Gallery in 1992. Seorim Gallery in 1994. and Worker Hill Art Museum In 1996).

Time just passed by as a long time flied away. I am still listening to music. I am in search of music as if I were on an expedition to strange places. Some say that is nothing but an indulgence, but music is a sort oi the unearthing or expedition to me. Park Chul was still painting his ensemble. His paradox became even more profound. The Dakjoingi(paper) that he uses for his artistic creation represents even piano and wind instrument, as well as string instrument like violin. The ecstasy permeated in the nature at Dakjongi(paper) is dreaming of hatching. It is
not the matching between straw mat and violin. It is the ecstasy between one musical instrument and another musical instrument. The ensemble of Park Chul evolved into the shell mount of musical instrument. Again. l feel the urge to explore more about Park Chul. I will find out the secret of very romantic musical instruments.

Bae Seok-Ho. music columnis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