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의 귀의 - 윤진섭 (미술평론가) (2007년)

박철 0 4,489

자연에의 귀의

- 박철의 근작에 대하여

 

신문보도에 의하면 최근 한불수교 120주년을 기념하여 프랑스 파리에서 전시된 원주 한지가 현지인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한다. 이에 고무된 주최 측은 파리 시내에 조만간 전용매장을 열 계획이라고 하니 이와 관련된 업계나 그동안 어려운 환경 속에서 작업을 해온 한지 작가들에게는 낭보가 아닐 수 없다. 최근에 불고 있는 한류 열풍을 상기해 보더라도 유독 한지작가들에게만 이러한 분위기가 비껴지나간 듯한 인상이 짙었는데, 이번 파리에서의 열풍은 그 대상이 한지였다는 점에서 보다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 장차 한지작업이 부각될 수 있는 호기가 조만간 찾아오리라는 희망을 갖게 해 주는 것이다.

한지작업에 관한 한, 박철은 국내에서 손꼽는 대표작가 중 한 사람이다. 우리의 현대미술사에서 한지작업은 70년대 초반에 비롯되었지만, 한지의 표현 매재적 가능성이 본격적으로 부상된 것은 8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이다. 한지가 지닌 풍부한 고유의 물성이 화가들에게 새롭게 인식되면서 집단적으로 탐구되는 분위기가 진작되었던 것이다. 80년대 중반 우리 화단의 분위기는 소위 서구미술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필요에서 한국미술의 독자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탐구가 다각적으로 전개되었는데, 박철의 작업은 이 시대적 요구에 딱 맞아떨어졌던 것이다. 물론 박철의 한지를 이용한 부조회화가 본격적으로 개진되는 것은 80년대 후반이지만, 70년대의 화선지와 광목을 이용한 먹 작업에 이미 그 맹아가 싹트고 있었다.

박철의 한지 부조회화가 본격적으로 화단의 관심을 끌게 된 것은 90년대 초반에 이르러서이다. 1990년 힐튼화랑에서의 개인전을 필두로 파리, 네덜랜드, 캐나다 등 국내외의 화랑에서 가진 십 수차례의 초대전은 그를 한국의 대표적인 한지작가 중 한 사람으로 각인시켰다. 특히 그의 부조회화 기법은 특유의 조형성으로 인하여 다른 한지작가들의 작업과 뚜렷한 차별성을 획득했다. 전통기와의 파편, 문짝(창호), 맷방석 등등 우리네 조상의 숨결이 담긴 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박철의 한지 부조회화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거센 열풍 속에서도 꿋꿋하게 자리를 잡아나갔다.

90년대 초반에서 중반에 이르는 시기에 박철은 바이얼린이라고 하는 서양 악기와 맷방석, 와당의 이미지를 하나의 화면에서 용해하는 작업에 관심을 기울였는데 이는 서로 이질적인 조형성의 대비를 통하여 또 다른 미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의도로 해석된다. 전업작가로서 박철이 한지에 기울인 정성과 탐구 의욕은 지난 20여 년간 제작된 그의 작품에 고스란히 담겨 있는데, 부조기법을 통한 다양한 소재와 재료의 변용은 그의 작품에 뚜렷한 미적 차별성을 부여하였다.

최근의 조형적 실험을 통하여 박철은 한지가 녹슬고 있다는 작가적 발언을 하고 있다. 이른바 산화의 미를 보여주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마치 철이 부식되는 것처럼 어두운 암갈색 톤의 색채가 강하게 화면을 지배하면서 고부조의 형태가 이전의 작품보다 더욱 부각된 것이 최근작의 특징이다. 그와 동시에 그는 아크릴 칼라를 주로 사용하던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나 오배자, 빈낭, 정향, 도토리, , , 소목, 홍화, 황백과 같은 천연염료를 조색에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통염색에서 주로 쓰이는 재료를 도입한 것은 그가 최근에 시도하고 있는 오브제의 사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는 우리 고유의 전통적 문틀(창호)을 일종의 오브제로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서 문틀은 작품의 프레임(frame)으로 기능하고 있다. 문틀은 창호의 프레임이라는 일상적 맥락에서 벗어나 작품(art work)의 프레임으로 전치되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10여 년 전인 1994년의 개인전 서문에서 나는 그의 작업을 생성과 소멸이라는 표제어로 요약한 바 있다. 이 말은 지금도 유효하다는 생각이 든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만물의 생성과 소멸은 우주의 철리다. 박철은 한지를 사용하여 사물의 생성과 소멸을 특유의 부조회화기법을 통하여 형상화해 왔다. 그의 화면에 등장하는 오브제들은 마치 오랜 세월의 두께에서 벗어나 모습을 드러내는 유적 발굴 현장의 유물들처럼 화면으로부터 어렴풋이 떠오르고 있다. 시간의 흐름을 사물(오브제)의 존재 양태를 통하여 압축적으로 상징화하고 있는 것이 바로 박철의 한지 부조회화의 요체다. 천연의 염색 재료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으로 작업을 하고 있는 박철의 한지 부조작업은 스스로 그러한 자연의 상태를 동경하며 그곳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윤진섭(미술평론가

 

 

RETURN TO NATURE
ABOUT RECENT WORKS BY PARK CHUL

A recent news report says that a Korean Paper from Won-ju presented in Paris, France, in honor of the 120th anniversary since Korea and France established the normalization, has won acclaims from the local citizens. Inspired by the news, the hosting leadership is planning to open a show room for exhibition, downtown Paris, sooner or later. This is a good news for industries concerned and artists dedicating to their works, in spite of difficult situations. Given the recently-booming fever of Korean Wave, it leaves a noticeable impression that such climate is far from only artists of Korean paper. But, the fever emerging in Paris, is cited as being more significant in that Korean Paper has been very popular in Paris. This phenomenon gives the hope that the work of Korean Paper would get a good opportunity to be highlighted, in the future.

When it comes to the work ol Korean Paper, Park Chul is one of typical artists who are drawing attention from the nation. Going back to the Korean Modern Art History, the work of Korean Paper, has originated from early in the 1970s, but, it was since the mid of the 1980s, when the The possibility as expression medium of the Korean Paper emerged in full swing. As the inherent attribute of Korean Paper, was leading painters to get new insight, the plethora of explorations on such Korean Paper have appeared. In the mid ol the 1980s, the Korean Painting World started to develop the study of the Korean inherent cultural identity, along with the interest in Korean independent paintings, in a bid to take strategic measures against what' s called western painting. The works by Park Chul were just suitable for the contemporary situations. It is obvious that the embossed picture began to arise in late of the 1980s, but, the works of Chinese ink with Chinese drawing paper and cotton cloth, had already been in bud in the 1970s.

It was early in the 1990s, when the embossed picture by Park Chul began to attract full attention from the painting world. With the beginning of a private exhibition, in Hilton Art Gallery in 1990, several private views held in art galleries at home and abroad, including Paris the Netherlands and Canada, make the remarkable contributions to making him one of typical artists of Korean Paper in Korea. In particular, his technique of embossed picture helped him make the distinct and stark distinction compared with works by other artists of Korean Paper. It was so as he presented the unique plastic arts. Selecting cultural heritages such as traditional roofing tile, window frame, and round straw mats, which were full of soul of Korean ancestors, the embossed picture by Park Chul has secured the solid position in the fierce fever of post-modernism.

From early to mid of the 1990s Park Chul payed attention to combining violin, one of western musical instruments, with round straw mat and roofing tile, in a picture. This is interpreted as an intention to explore another aesthetic value based on heterogenic factors of plastic arts. As a full-time artist, Park Chul poured efforts and passions into Korean Paper. This is plainly demonstrated in his works that he have produced for the past twenty years. His various materials and applications based on embossed picture, presented a striking distinction in his works.

Through a recent plastic experiment, Park Chul states with a remark that “Korean Paper is rusting". Such remark smacks of the typical language that any artist uses. This is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what's called ‘beauty of oxidation’ . His recent art works are featured as the color of dark brown dominating the picture, and at the same time, making a more remarkable feature of embossed picture, compared with existing works. it is similar what just as steel is eroded. Abandoning the acrylic color typical of the past preferred method, he currently prefers the natural dye products such as gallnut, betel palm, clove, acorn, chestnut, wormwood, sappan wood, safflower, and amur cork tree. His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mainly used in traditional dye products, has close something to do with ‘Objects' that he is using these days Park Chul Artist is employing the Korean traditional window frame(Chang-Ho), as what's called the sort of 'Object' . The window paper is functioned as the ‘frame' of art. Such window frame is transformed as the art work, getting out of the general context of a mere 'window frame'.

Going back 1994 ago ten years ago from now, i summarized his work as the headline, 'Formation & Extinction', in the subject of a private exhibition. I think that the headline still holds true even now. ‘Formation and Extinction' of all things with time and tide, is the inevitable providence ot the universe. Park Artist has used Korean Paper to term ‘Formation and Extinction’, of all things based on the technique of embossed picture. Most ‘Objects' described in his pictures, are vaguely raising their heads like unearthed ruins on the spot. And. they look getting out of their long images. The embossed picture by Park Chul is the emblem representative of forms that ‘Objects' take on, in aspect of passing time. The work by Korean Paper by Park Chul portrays the aspiration for nature, and advance to beautiful nature landscape. It is true as he is carrying out eco-friendly art works.

Yoon Jin-Sup
(An Reviewer/Professor in Honam University) 

Comments